- 2차 원심분리 과정에서 회수된 1단계 세척액은 탄산나트륨 용해 단계로 재투입되어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1차 원심분리 시 분리된 모액은 산처리 및 증발 결정화 공정을 통해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제조할 수 있습니다.
- 정제된 황산리튬 용액으로부터 을 생산하는 과정에는,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가성화, 냉각 결정화, 증발 결정화, 재용해 및 CO₂를 활용한 탄산화 등의 방법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배터리급 탄산리튬
최종적으로는 건조, 체질, 탈철, 분쇄, 혼합 및 포장 공정을 거쳐 배터리급 탄산리튬(Li₂CO₃)이 생산됩니다. 킬레이팅 수지를 이용한 제칼슘 공정 및 기타 정제 단계를 거친 후, 황산리튬 용액은 제어된 온도 하에서 탄산나트륨 용액과 리튬 침전 탱크 내에서 반응합니다. 이 반응을 통해 황산나트륨이 함유된 탄산리튬 슬러리가 생성되며, 1차 원심분리를 통해 조탄산리튬이 회수됩니다. 회수된 제품은 1차 세척 탱크로 이송되어, 미리 계량된 2차 세척액과 혼합됩니다.
이후 슬러리는 2차 원심분리를 통해 부분 정제된 탄산리튬으로 분리됩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2차 세척 탱크에서 순수한 물과 혼합되어 잔류 불순물이 제거되며, 이어지는 3차 원심분리를 통해 고순도의 탄산리튬이 회수됩니다.
건조기, 증발기, 결정기부터 턴키 시스템까지, 당사 전문팀이 최적의 솔루션으로 귀사의 성공을 지원합니다.